Photo story

야경사진 잘찍는 방법

, J Lee 2017. 10. 20. 00:34

안녕하세요. 오늘은 필름 이야기가 아닌 야경사진 잘 찍는 방법에 관련해서 이야기를 해볼려고 합니다. 누구나 사진을 찍다보면 야경사진 한번쯤 잘 찍어보고 싶지만 처음부터 조리개니 셔터스피드니 ios니 이런것들 위주로 설명드리면 포기하기 쉬운걸 잘 알고 있기때문에 어느정도 가이드를 드리면서 하나 하나 설명해볼려고 합니다. 잘만 따라서 찍어보신다면 멋진 야경사진뿐만 아니라 모두가 찍어보고싶은 별사진까지도 찍을 수 있을겁니다. 그럼 하나 하나 샘플을 보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모든 사진은 클릭하면 크게 보실 수 잇습니다.)




ISO 100 / 20S/ 32mm / f11


먼저 야경 사진을 찍을땐 꼭 필요한 준비물들이 있습니다.

1. 카메라와 렌즈 (너무 당연한거겠죠^^;)

2. 삼각대

3. 릴리즈 (좀더 좋은 사진을 위한 옵션)


위에 언급한대로 3가지가 필요합니다. 단 3번은 옵션이므로 없어도 무관합니다. 카메라와 렌즈는 너무 당연하것이고 삼각대는 많은 사람들이 무겁고 귀찮다는 이유로 많이들 소홀히 대하시는데 야경 사진은 삼각대 없으면 못찍는다 해도 빗말이 아닙니다. 물론 요즘 DSLR들은 너무 좋이서 IOS 높여서 찍을수는 있지만 그럼 꼼수로 찍은 사진은 진짜 야경사진이라고 볼수가 없겠죠. 본론으로 들어가서 위 사진 정보값을 보면 ISO 100 / 20S/ 32mm / f11 이렇게 표시되 있습니다. 


야경사진을 찍기위해 꼭 필요한 요소가 3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IOS, 셔터스피드, 조리개 값


첫번째로 IOS는 낮을수록 좋습니다. 

정말 어두운환경 (별사진을 찍기 위한 산속같은경우? ^^:) 이 아니라면 권장하기로는 IOS200 이하를 유지하는게 높은 퀄러티의 야경 사진을 건질수가 있습니다. 그래야지 노이즈로 인한 거친 사진이 아닌 깔끔한 사진을 전질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IOS 100 으로 찍었군요.


두번째로 조리개 값입니다. 조리개 값 = F값입니다.

보통 야경이나 풍경사진에는 조리개 값을 8~11 사이에 두고 많이 찍습니다. 그 이유인즉슨 좀더 선명한? 사진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여기서 잠깐, 다들 알고 있겠지만 조리개 값에 대해서 짧게 짚고 넘어갈께요. 조리개 값=f값인데 조리개 값이 높을수록 인포커스 사진(선명한사진)을, 조리개 값이 낮을수록 아웃포커스 사진(흔히들 말하는 배경 날라가는 사진) 을 얻을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조리개 값을 11줬네요.


세번째는 셔터스피드 입니다. 

위 사진에서는 20S 으로 표시됐네요. 왜 20초라는 긴시간으로 촬영을 했냐고 물어보신다면 그래야 밝은 사진을 찍을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 이유는 뒤에 다시한번 짚고 넘어가기로 하겠습니다. 이렇게 야경을 찍기 위해서는 위 3요소가 필수입니다.



ISO 100 / 46S/ 24mm / f13


이 사진을 보니 위에 사진보다는 셔터스피드는 46초로 늘어났고 조리개 값은 13으로 올라갔네요. 첫번째 사진을 찍은 시간은 해가 막 넘어가고 어둑 어둑 해질때 찍은 사진이고 두번째 사진은 한밤중에 찍은사진이라 그렇습니다. 그리고 조리개 값은 11로도 충분한데 왜 13까지 올렸느냐? 조금더 선명한 사진을 찍기 위해서라고 말씀드리지만 11준것과 큰차이가 없네요. 단지 조리개값을 더 올렸기때문에 그만큼 셔터스피드값도 늘어났네요. (조리개값이 낮을수록 조리개가 개방되기때문에 빛을 많이 받아들이기때문에 셔터 스피드가 줄고, 조리개값이 높을수록 조리개가 닫히기 때문에 빛을 적개 받아들이기때문에 셔터 스피드값이 늘어납니다.) 


여기서 잠깐, 위 3요소만 있으면 야경사진을 찍을수 있다고 했는데 그럼 삼각대는 무겁고 번거롭게 왜 필요하냐?? 20초라는 긴시간동안 움직임 전혀 없이 카메라를 들고 계실수 있으신가요? ㅎ 네 그렇습니다. 삼각대는 장노출로 사진을 찍을때 흔들림이 없어야 하기때문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야경사진을 찍을때는 큰큰한 삼각대가 있어야 합니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삼각대가 편의성을위해 작고 가벼운 것이라면 삼각대에 가방같은걸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것도 팁입니다. (제가 나름 좋은 삼각대를 쓰면서도 바람에 넘어가 카메라 날려먹은 기억이 있어서^^;)


그럼 미쳐 삼각대를 준비하지 못했는데 너무 멋진 야경을 봤어요. 포기해야하나요?여기서 꼼수가 발휘됩니다. 숨넘어가더라도 숨 꾹 참고 움직이지않고 손 안떨기 스킬!!그리고 IOS 와 셔터스피드, 조리개값만 확실히 이해하고 있으면 쉽습니다.



ISO 1600 / 1/60S/ 32mm / f3.5



자 위 사진을 보시죠~첫번째 두번째 사진과는 달리 빛갈라짐도 없고 좀 어두우면서 뭔가 부족하죠? 위사진은 삼각대없이 손각대를 사용하요 찍었습니다. 근데 사진 정보를 보니 IOS가 1600이나 되는군요. 셔터스피드는 1/60초, 거기다가 조리개값은 3.5네요. 네 삼각대가 없어 첫번째나 두번째 찍은대로 찍을려면 불가능하기에 꼼수를 쓴겁니다. IOS가 높을수록, 조리개 값이 낮을수록 빛을 더 많이 받아드립니다. 그럼으로 인해 떨리지 않는 최소한의 셔터 스피드를 확보할수있었습니다. (셔터스피드는 손떨림방지가 있으면 1/40~1/60 사이 가능하며 손떨림 방지가 없다면 1/60~1/125 사이까지는 좀만 노력하면 흔들리지 않은 사진을 찍을수잇습니다) ISO 값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노이즈는 어쩔수 없이 따라옵니다. 그렇지만 요즘 카메라들은 워낙 좋게 나와서 어느정도까지는 잘 나오더군요. 위에 사진은 후보정으로 노이즈 제거했고요. 그에따른 화질저하는 어쩔수 없는거죠...



이제 어느정도 감이 잡히시나요? 이래도 모르겠다 하신분들은 야경사진에 공식아닌 공식처럼 자리잡은대로 해보세요.


아주 어두울때 - 삼각대 / IOS 100~200 / 30s / f11

해지고 어둑어둑할때 - 삼각대 / IOS 100 / 20s~30s / f11

이 설정에서 셔터 스피드만 조절해가면서 한번 찍어보세요.



이제 삼각대 있건 없건 야경사진 생각처럼 그리 어려운것만은 않겠죠?

그럼 즐거운 사진 생활 하세요^^





P.s 보너스로 별사진 한장 투척


ISO 800 / 30S / f2.8